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패스트캠퍼스후기
- adfit
- Custom Package
- Framework
- Unity Editor
- ui
- Job 시스템
- 암호화
- 샘플
- 최적화
- 가이드
- 직장인공부
- sha
- DotsTween
- Dots
- C#
- base64
- 2D Camera
- TextMeshPro
- 커스텀 패키지
- 직장인자기계발
- unity
- 프레임워크
- AES
- 패스트캠퍼스
- Tween
- job
- 오공완
- RSA
- 환급챌린지
- Today
- Total
목록Mobile game (2)
EveryDay.DevUp

ML 초안에서 게임을 제작할 때 필요한 부분에 대해 기술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고민했지만, 게임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내용으로 프로토 버전에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은 무엇일까에 대한 정리를 다시하고자 함.프로토 정의- 근본적으로 프로토 버전에서 검증이 필요한 것은 게임의 "재미" : 여기에는 기술적으로 데이터 시리얼 라이즈를 어떻게 할 것인가?. 게임의 기반 구조는 어떻게 잡을 것인가?에 등 기술적 고민보다는 빠르게 재미를 검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구현에 중점: 최소한의 구현은 게임의 핵심 시스템을 정의하고 핵심 시스템에 필요한 리소스, 데이터를 가져와서 로직을 구현하는 것: 벤치마크할 게임이 있다면 해당 게임을 예시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1) Resources에 필요한 리소스를 넣고, 프리팹의 링크를 ..

목표 - Unity 6 신규 기능 경험- C# 클라이언트/서버 구현 경험- 초기 버전부터 상용 서비스까지의 전체적인 개발과정 경험게임 컨셉- 로그라이크 / 머지- 2D Pixel게임 개발을 위해 고민이 필요한 것1. 데이터 직렬화1) 기획 데이터의 직렬화- 기획 데이터를 클라/서버가 사용할 때, 프로젝트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가 다름: 기획 데이터는 현재까지 경험상 엑셀 외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경험한 적이 없음: 엑셀 데이터를 직렬화하는 포맷으로 json, csv, xml, message pack 을 사용했던 경험이 있음-> 데이터 직렬화를 위한 타입 정의를 어떻게 할것인가.-> 어떤 직렬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엑셀 데이터를 파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필요2) 클라 서버 통신 시 어떤 직렬화 라이브러리..